속회 자료
5월 셋째 주 그룹큐티나눔
스스로 입은 베옷
에스더 4:1-17
마음 열고, 찬양과 나눔
⦁내 맘이 낙심되며(찬송 300장, 구 406장)
⦁지난 한 주 어떻게 지냈는지 서로의 근황을 나눠봅시다.
왕의 총애를 받는 하만은 모르드개뿐 아니라 온 나라 안에 있는 모든 유다인을 죽이려 합니다. 왕에게 전권을 위임받은 하만은 왕의 이름으로 아달월 십삼일에 모든 유다인을 죽이라는 조서를 작성합니다(3:10-14). 사비를 들여서라도 이 일을 꼭 이루려 합니다(3:9). 그가 작성한 조서 내용이 유다인들에게 알려지자, 모두 근심에 싸입니다(3:15).
마음 다해, 말씀과 나눔
1. 모르드개가 굵은 베옷을 입고 대궐 문 앞에 있다는 소식을 왕비 에스더가 듣습니다(1-9절).
1) 왕의 명령과 조서가 각 지방에 도착하자, 유다인들은 어떤 행동을 합니까(3절)?
크게 애통하여 금식하며 울며 부르짖고 굵은 베옷을 입고 재에 누운 자가 무수했다.
하만은 모르드개에 대한 앙심으로 모든 유대인을 학살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은 왕이 승인했고, 그 계획이 담긴 조서가 페르시아의 각 지방까지 도달했다. 유대인을 죽이려는 날이 아직 많이 남았음에도 조서의 내용은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그날을 위하여 준비하게 하라’(3:14)는 요청은 분명 유다인을 학살하려는 사람들에게 한 말이지만, 유다인도 그날을 위하여 준비한다. 각 지방에 있는 유다인들은 자신들에게 예정된 이 엄청난 폭력에 크게 애통하기 시작했다. 유다인의 문화에서 애통은 금식과 굵은 베 옷 입기 그리고 재를 머리에 뿌리는 것으로 시작된다. 모르드개도 동일하게 애통하기 시작했다. 단지 그가 궁궐 문 앞에서 애통했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2) 모르드개가 에스더에게 알려준 것은 무엇입니까(7, 8절)?
모르드개가 당한 일, 하만이 유다인을 멸하기 위해서 왕의 금고에 바치기로 한 은의 정확한 액수, 유다인을 진멸하라고 수산 궁에서 내린 조서 초본
모르드개가 궁궐 문 앞에서 애통한다는 소문은 곧 왕비 에스더에게까지 전해졌다. 애통을 상징하는 베옷을 입고는 궁궐에 들어갈 수 없었다. 분명 모르드개는 왕실에서 일하는 관직을 받았던 것 같다(2:19). 그가 어떤 관직을 받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베옷을 벗으면 궁궐 안으로 들어가서 왕에게 호소할 수 있었을 것이다. 에스더는 모르드개가 왜 애통한 것인지는 알지 못하나 그가 궁궐에 들어오는 것이 더 좋을 거로 생각하고 옷을 보내 모르드개가 복귀하기를 바랐다. 그러나 모르드개는 에스더의 제안을 거절하며 자신과 모든 지방의 유다인이 베옷을 입고 애통하는 이유를 알려준다. 모르드개에 대한 하만의 앙심은 이제 한 민족에 대한 혐오와 증오로 뒤바뀌었다. 한 민족을 학살하기 위해 재산을 아까워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혐오와 폭력을 조장해서 온 세상을 두려움으로 만든 하만의 무서운 광기를 알려준다. 과연 이런 광기를 누가 멈출 수 있을까? 이 광기를 승인해 준 왕이 자신의 명령을 쉽게 거두어들일 수 있을 것인가.
나눔 1 에스더는 유다인들에게 일어나는 일을 알지 못했습니다. 모드르개와 유다인들이 베옷을 입고 애통하는 이유를 자세히 알지 못한 채, 옷을 보내어 달래려 했습니다. 타인의 위기와 고통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 적이 있다면 나눠봅시다.
2. 모르드개는 에스더가 동족을 위하여 왕께 간구하기를 바랍니다(10-17절).
1) 에스더가 왕을 찾아가기를 두려워한 이유는 무엇입니까(11절)?
왕의 부름 없이 마음대로 찾아가면 죽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왕이 금규를 내밀면 살 수 있지만, 에스더는 이미 삼십 일 동안 왕의 부름을 받지 못한 상태였다.
우리는 이미 왕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던 왕후 와스디가 폐위되었음을 안다(1장). 이는 에스더도 아는 사실이다. 자신이 그 와스디를 대신하여 왕후가 되었기 때문이다. 왕의 명령을 어기는 행동은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에스더는 알고 있다. 왕이 부르지 않았는데도 왕을 찾아가는 것은 황실의 법에서 매우 민감한 사안이다. 심지어 왕은 에스더를 찾지 않은 지 한 달이나 되었다. 에스더 입장에서 왕을 찾아갔을 때 왕이 자신을 반가워할지, 노여워할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2) 모르드개가 이때를 위한 하나님의 포석일 수 있다고 말한 사건은 무엇입니까(14절)?
에스더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
자신의 상황이 녹록지 않음을 토로하는 에스더에게 오히려 모르드개는 에스더의 상황이 하나님께서 준비하신 것이라고 일깨운다. 전국의 수많은 처녀 중에서 왕후가 되는 것이 녹록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에스더가 왕후가 되었던 사건에 대한 의미를 찾아가는 순간이다.
3) 에스더는 무엇을 결단합니까(16절)?
“이렇게(밤낮 삼 일) 금식한 후에 규례를 어기고 왕에게 나아가리니, 죽으면 죽으리이다.”
모드르개의 따끔한 충고가 에스더를 움직였다. 에스더는 하나님께서 자신의 삶에 관여하신 이유를 찾게 되었다. 그럼에도 자신에게 놓인 상황이 쉽지 않은 건 사실이다. 에스더는 도움을 요청한다. 자신을 위해 모든 이들이 함께 금식하며 기도해 달라 말한다. 일반적인 금식은 낮에만 시행되지만, 에스더는 밤과 낮을 포함한 삼 일을 금식하며 자신을 위해 기도해 달라고 한다. 그만큼 이것이 중대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개인의 목숨뿐 아니라 모든 이들의 목숨이 함께 걸려 있는 문제기 때문이다.
나눔 2 에스더는 동족에게 비극이 닥칠 것을 안 후에도 왕에게 나아가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왕의 총애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자칫 죽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모르드개는 이 순간을 위해 에스더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리라 믿습니다. 무엇이 옳은 일인지를 알면서도 여러 염려 때문에 주저한 적이 있다면 나눠봅시다.
나눔 3 에스더는 모르드개의 말대로 왕께 나아가기로 결단합니다. 두렵지 않아서가 아니라, 두려운 마음을 기도와 근신을 통해 이겨냈기 때문입니다. 지금 믿음으로 결단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서로 이야기하고, 두려운 마음을 떨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서로를 위해 기도합시다.
마음 모아, 함께 기도
삶 _ 다른 이들의 아픔을 외면하지 않는 긍휼과 인애의 마음을 품게 하소서.
공동체 _ 공동체의 문제를 책임자들에게만 돌리지 않고, 함께 고민하며 답을 찾는 데 동참하게 하소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