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회 자료
6월 다섯째 주 그룹큐티나눔
레위인의 거룩한 직무
역대상 23:1-32
마음 열고, 찬양과 나눔
⦁나 맡은 본분은(찬송 595장, 구 372장)
⦁지난 한 주 어떻게 지냈는지 서로의 근황을 나눠봅시다.
이스라엘 가운데 레위 지파는 유일하게 땅을 분배받지 못했지만 하나님이 그들의 기업이 되셨습니다. 그들에게만 성막에서 하나님을 위해 전적으로 봉사하는 직무를 맡기신 것입니다. 레위인은 성막을 운반하고 설치하는 일, 성막에서 제사장과 협력하여 제사와 예배 활동을 돕는 일, 성막이 부정해지지 않도록 경비하고 보호하는 일을 전담했습니다. 그런데 성전을 건축하면서 이동식 성막 시대가 끝나고 고정식 성전 시대가 열리면, 레위인들은 이전에 하던 일을 계속할 수가 없습니다. 새 시대, 새 환경에 맞게 직무도 새로워져야 합니다.
마음 다해, 말씀과 나눔
1. 다윗은 레위인을 세 종족으로 구분하여 조직합니다(1-23절).
1) 레위인들은 직무에 따라 어떻게 나뉩니까(4, 5절)?
성전 일을 보살피는 자, 관원과 재판관, 문지기, 찬송하는 자
레위 지파는 크게 1) ‘제사장들’과 2) ‘레위 사람들’로 구분된다(2절). 그리고 ‘레위 사람들’은 다시 네 개의 직무군으로 조직된다(4-5절). 즉 1) 24,000명의 성소 봉사자, 2) 6,000명의 행정·사법 관리, 3) 4,000명의 성전 문지기 4) 4,000명의 찬송하는 음악가다. 역대상 23-27장은 이 네 개의 직무를 맡은 레위인의 주요 가문 명단과 그들이 해야 할 일을 서술하고 있다. 즉 역대상 24:1-31은 성소 봉사자(제사장과 레위인), 25:1-31은 찬송하는 음악가, 26:1-19은 성전 문지기, 26:20-27:34은 성전 밖에서 행정, 사법(재판)적인 일을 담당하는 관리에 관한 내용이다. 성전(건물) 시대가 되면서 레위인의 직무가 종교, 교육, 사법, 행정 다방면에 걸쳐 확대되었다.
2) 다윗은 어떤 족속을 중심으로 레위 지파를 조직합니까(6-23절)?
① 7-11절: 게르손 자손
② 12-20절: 그핫(고핫) 자손
③ 21-23절: 므라리 자손
광야 시대에 게르손 자손은 주로 성막과 장막, 그 덮개, 회막 문장, 뜰의 휘장 및 성막과 단 사면에 있는 뜰의 문장과 줄들을 맡았다(민 3:25-26). 그핫 자손은 증거궤, 진설상, 등잔대, 제단과 성막의 비품들을 보호하고 옮기는 업무를 맡았다(민 3:31). 므라리 자손은 성막의 널판과 기둥, 받침 등 무거운 기물을 옮기는 일을 맡았다(민 3:36-37). 그런데 이동식 성막에서 고정식 성전으로 바뀌면서 이런 직무들은 변화를 맞을 수밖에 없다(26절).
나눔 1 레위 지파는 게르손, 그핫, 므라리 세 족속으로 조직되어 역할을 부여받습니다. 어떤 이는 성전 제사 업무, 어떤 이는 행정과 사법 업무, 또 어떤 이는 찬양대로서 업무를 수행합니다. 우리 공동체가 역할을 분담하고 유기적으로 합력하여 사역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지 서로 나눠봅시다.
2. 다윗이 모세처럼 레위인을 조직하고 그들에게 해야 할 역할을 분담합니다(24-32절).
1) 다윗은 레위 자손의 사역 시작 연령을 몇 세에서 몇 세로 조정합니까(3, 24절)?
30세에서 20세로
역대상 23:3에서 레위 사람이 30세 이상으로 계수된다. 이는 광야 시절 성막에서 봉사하는 레위인의 연령이 30-50세인 것에 기초한 것으로 보인다(참조. 민 4:3, 47). 민수기 8:24에서는 레위인이 25세에 회막에 들어가 봉사할 수 있다. 이것은 아마도 5년 정도 견습생 기간을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역대상 23:24을 보면 성전에서 섬기는 자들의 연령이 20세로 하향 조정된다. 포로기 이후에는 실제로 성전에서 봉사 업무 연령이 20세로 하향 조정된다(대상 23:24; 대하 31:17; 스 3:8). 포로기를 거치면서 레위인의 수는 줄지만, 성전 및 행정 업무는 더 많아져서 봉사 연령이 20세로 하향 조정된 것으로 보인다.
2) 다윗 왕국 시대에 레위인에게 더 이상 요구되지 않은 업무는 무엇입니까(25, 26절)?
성막과 그 가운데 쓰는 모든 기구를 메는 일
광야 시절 성막은 이동식이기에 레위인이 성물을 멜 필요가 있었지만, 성전이 고정된 이후에는 더 이상 성물을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성물을 메는 업무가 사라진 것이다. 시대가 바뀌면서 레위인의 해야 할 봉사 업무도 변화가 일어났다.
3) 다윗이 예루살렘 성전 시대에 걸맞게 지정한 레위인의 업무는 무엇입니까(28-32절)?
① 28절: 아론의 자손(제사장)을 도와 성전에서 섬기는 일
② 29절: 하나님께 바치는 떡을 굽고 반죽하는 일, 저울질하고 자로 재는 일
③ 30절: 아침과 저녁마다 여호와께 감사하고 찬양하는 일
④ 31절: 절기에 여호와께 번제 드리는 일
⑤ 32절: 회막의 직무, 성소의 직무, 제사장을 도와 성전에서 수종드는 일
레위인의 직무가 성막 시대에는 성물을 관리하고 이동하는 업무에서, 성전 시대에는 제사장들을 도와 성전과 뜰과 골방에서 섬기는 일, 모든 성물을 정결하게 하는 일, 진설병을 굽는 일, 여호와께 찬송하는 일 및 성전에서 수종드는 일로 그 중심과 방향이 바뀌게 된다. 시대가 변해도 성전의 존재 이유는 변함이 없지만, 성전 봉사의 형식과 제도는 바뀌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예배도 마찬가지다. 하나님을 예배하는 정신과 원리는 변함이 없지만, 그 시대와 문화에 따라 예배의 형식과 틀은 바뀔 수 있다.
나눔 2 다윗은 봉사 인원을 확보하기 위해 레위인의 봉사 시작 연령을 30세에서 20세로 낮추고, 성전에서 할 업무를 새롭게 지정합니다. 우리 공동체의 조직과 직무 중에 본질과 정신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시대와 상황에 맞게 달라져야 할 것은 없는지 생각해봅시다.
마음 모아, 함께 기도
삶 _ 나에게 맡겨진 하나님 나라 사역을 충성스럽게 감당하게 하소서.
공동체 _ 우리 공동체가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는 데 최적의 체계를 갖추게 하소서.
댓글